본문 바로가기

oracle132

[Recovery Manager] RMAN [RMAN 주요특징]1. 자주 실행하는 작업을 스크립트로 저장큰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백업작업을 수행할때 많은 양의 코딩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은데RMAN Recovery Catalog Server를 사용할 경우 자주사용하는 백업 명령어들을 스크립트로 저장 가능 2. 증분 블록 레벨 백업 기능 지원 과거에 백업 받은 내역을 조사해서 그 기준 이후에 변경된 블록만 찾아 백업 수행 가능백업 공간을 절약하고 백업시간을 단축할수 있음. 3. 사용되지 않은 블록 건너뛰고 백업 수행현재 사용하고 있는 블록만 찾아서 백업수행, Backupset으로 백업을 수행할 경우 자동으로 지원 4. 백업 수행 중 훼손된 블록 감지백업 수행 도중 훼손된 블록을 감지할 경우 일반적인 백업과 달리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고 마킹한 후 계속 .. 2014. 11. 13.
[Flashback] Database Level Flashback 2014. 11. 13.
[Flashback] Table Level Flashback 2014. 11. 13.
[Flashback] Low Level Flashback 2014. 11. 13.
[Clone DB] Clone db로 복구 후 DB Link를 이용해서 이동하기 [DB Link]- 운영 DB와 복구 DB는 서로 네트워킹이 되어야 DB Link를 사용할수 있다.-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쪽이 server /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쪽이 client- server는 tnsnames.ora 파일을 수정해야 하고 / client는 listener.ora 파일을 수정해야함- DB Link는 Client에 생성 [전제조건]archive mode에서 작업백업파일경로 : /data/backup/open/운영서버 SID : testdb복구서버 SID : clone1복구서버 파일경로 : /data/temp/clone1/ [작업순서]1. 복구 서버용 파라미터 파일 생성 : 현재사용중인 parameter file을 복사하여 이름변경하고(initSID.ora) vi로 편집하여 내용수정2. 백.. 2014. 11. 11.
[Clone DB] clone db를 이용한 drop tablespace 복구 [전제조건]백업파일경로 : /data/backup/close/운영서버 SID : testdb복구서버 SID : clonedb복구서버 파일경로 : /data/clone/ [작업순서]1. 복구 서버용 파라미터 파일 생성 : 현재사용중인 parameter file을 복사하여 이름변경하고(initSID.ora) vi로 편집하여 내용수정2. 백업 데이터 파일 복원 : 백업받아둔 *.dbf 파일을 복구서버 경로로 복원3. 컨트롤 파일 재생성 스크립트 만들기 : alter database backup controlfile to trace as '스크립트생성할위치'4. 컨트롤 파일 재생성 스크립트 실행 : SQL> @스크립트경로5. 불완전 복구 시작 : recover database until time '복구시간' u.. 2014. 11. 10.
[Clone DB] clone db와 exp/imp를 이용한 drop table복구 [전제 조건]백업파일경로 : /data/backup/close운영 DB SID : testdbclone DB SID : clonedbclone DB 파일경로 : /data/clone/ 1. archive mode에서 작업하기 2. 전체 close backup 수행 : DB shutdown -> 백업 -> startup 3. 테이블 생성 + 데이터 입력 + 데이터 존재하는 시간 확인 4. 생성한 테스트용 테이블을 drop table하여 장애 발생시킴 5. 스위치 발생시켜 현재 redo log file을 archive log file로 만들기 6. 현재 parameter file을 복사하여 clone DB의 parameter file을 만들어줌 7. 복사하여 만들어준 parameter file을 열어 clo.. 2014. 11. 10.
[데이터 이동하기] SQL*Loader [오라클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1. Conventional Path 방식-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조회될때 항상 메모리(database buffer cache)를 통해서 작업되는 방식- 장점 : 데이터를 load하는 도중 다른 사용자와 작업승인 테이블을 공유해서 작업할수 있음- 단점 : direct load 방식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redo log와 undo log가 많이 발생- 자주 사용하는 블록을 메모리에 공유해서 디스크 I/O를 줄이기 위해 도입된 방식- but, 재사용 가능성이 없는 블록을 대량으로 쓸경우에는 오히려 성능저하- 공간이 부족할때 *HWM Bump up을 하면서 소요되는 시간때문에 대량의 데이터를 입력할때 문제가 있음. 2. Direct Path 방식 (Bulk Load방식)- d.. 2014. 11. 10.
[데이터 이동하기] Datapump - impdp 2014. 11. 10.
[데이터 이동하기] Datapump - expdp 1. expdp 실행모드① full 모드-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export- DBA권한을 가지고있거나 export_full_database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가능② schema 모드- 특정스키마의 전체를 export- export에서 owner옵션과 동일③ tablespace 모드- 해당 테이블 스페이스에 속한 모든 테이블을 받을수 있음- transport_tablespace파라미터 사용시 테이블과 테이블스페이스의 메타 데이터까지 export- transport_tablespace를 사용하려면 양쪽 데이터베이스의 OS가 같아야 하고 block size와 characterset로 같아야함④ table 모드- 특정 테이블 export- 여러개의 테이블을 export받으려면 ,(콤마)로 구분 2. expdp.. 2014. 11. 10.